1950년대 | 재구축 Reconstruction | 도시의 노후한 지역의 재건축과 확장 (마스터플랜) | 공공부문 투자에 민간부문 일부 참여 주택과 삶의 기준 개선 | 도시내 지역의 복원과 주변지역 개발 | 중앙정부와 지방정부; 민간개발업자와 도급업자 |
1960년대 | 재활성화 Revitalization | 1950년대 경향 지속 중앙정부, 지방정부: 민간개발업과 계약자들에게 지시 | 1950년대부터 계속적으로 민간투자의 영향증가 사회, 복지 개선 | 대전이후 50만호 손실에 따른 빠른 주택보급 및 재건정책 |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균형 50년대 보수당주도 |
높은 수준의 정부개입과 주택보급 | 60년대후반 노동당 주도의 정책변화 | 60년대 후반 거대한 빈민가 철거 |
기존지역의 부흥과 함께 1950년대 정책 지속 |
1970년대 | 리뉴얼 Renewal | 파트너쉽: 중앙지방정부, 증가하는 민간섹터와 특별부서, 지역사회 | 공공부문의 재원 부족과 민간투자 증가 | 빈민가 철거 및 주거 개선 정책 종합개선지역 | 민간부문의 역할 강조와 지방정부의 탈중앙화 |
커뮤니티 기반 행위와 많은 권한 부여 | GIAs 프로그램 주거개선지역(HAAs) | 노동당 계속 집권 |
1980년대 | 재개발 Redevelopment | 중앙정부가 인센티브 제공, 민간섹터와 특별부서가 실행하는 구조 | 선별적인 공공지원과 함께 민간부문이 주도 | - 중앙정부의 기능 강화 및 민간과의 협력체계강화 | 민간부문과 특별기관의 강조; 파트너쉽의 성장 |
공공-민간 협력구조 | 매우 선별적인 정부지원과 커뮤니티자활 | - 대도시권 광역정부 폐지 | 1979년 대처 보수당 집권 |
- 경제활성화 촉진 |
- 신우익주의/기업주의 |
- 민영화 및 규제완화 | 노후한 도시 지역의 강조 높은 재개발 | - 개발계획과 개발규제기간 단축(규제철폐 및 절차 간소화) |
- 대형 프로젝트 부동산 위주 개발 |
1990년대 | 지역재생Area-Regeneration | 공공민간파트너쉽, 특별부서와 지방정부시민단체와 지역사회 참여의 증가 | 공공, 민간, 자발적 지원의 균형 | - 도시 및 농촌 계획법 정리 | 파트너쉽이 지배적 1990.12 메이저 보수당 집권 |
커뮤니티 역할 강조 | - 환경보호법/환경법 정비 |
- 환경에 대한 배려 강조, 지속가능한 개발 이념 추구 | - 환경부와 교통부의 통합(DETR) | 1997.5 블레어 노동당 집권 |
- 광역적 도시계획 강조 |
- 개발계획에 입각한 개발 규제, 협력적 계획이론 | - 다양한 보조금제도의 도입 |
1980년대보다 신중한 개발; 역사 유적조존 | - 규제절차의 간소화 |
2000년대 | 전략적재생 Strategic Regeneration | 전략적인 공공-민간-지역사회 파트너쉽 | 커뮤니티의 역할 강조 | 저렴함 따뜻함 (Affordable Warmth) 프로그램 Neighborhood Renewal(NRNS) 영국주택상태평가 주거, 건강, 안전 등급시스템 | 효율적인 파트너쉽의 다양한 유형 전개 |
지켜보는 중앙정보, 지역을 이끄는 지방정부 | 사회배제, 빈곤타파를 위한 다양한 자력갱생프로그램 운용 |
- 실업문제 개선 |
- 주민들의 건강 증진 프로그램 |
- 범죄감소 안전사회 조성 | 교육을 강조한 정책 |
- 교육수준 증가 기술교육 제공 | 민영주택 재생 프로그램 |
- 주택과 물리적 환경 개선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