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TCM 주도형 | 초기단계의 TCM에 적합한 기본적인 조직구조 | 소규모 도시 적용가능 |
2. 타운센터 매니저 공유형 | TCM과 비슷하나 매니저가 여러 도시의 TCM에 관여하는 형태 | 소규모 도시 적용가능 |
3. 타운센터 매니저 중심형 | 큰 도시 전개형태, 상근 타운매니저 고용 | 매니저의 역량 중요 |
4. 상공회의소 타운센터 매니저 고용형 | 상공회의소가 타운센터 매니저 고용 | 민관은 상공회의소 지원 |
5. TCM-관민 코디네이터 | 지자체로부터의 참여자가 공공섹터의 관리 조정하고 민간기업 출신자가 상업적 이익을 조정 | 민관 협력이 특히 중요 |
6. 지자체 타운센터 매니저 고용형 | 타운센터 관리자를 지자체가 고용하는 형태 | 대부분 TCM이 채택 |
7. 관민협력-지자체 직원형 | Council내에서 지자체 직원이 타운센터 이슈의 중심적 역할 담당 | 민간섹터와 공공섹터를 연계하는 역할 |
8. 시티 챌린지-타운센터 매니저형 | 타운센터 매니저 지정 | 도시재생에 기여 |
9. 시티센터 컴퍼니형 | 회사형태의 조직. 특정 지역의 사업과 관리의 책임을 진다. | 상근 직원고용, 활동 자금확보 위해 사업진형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