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2 주거수준 평가지표 특성과 산출방법

구분 평가지표 자료주기 시점 공간범위 단위 지표 산정방식 자료 출처
1 인구 천명당 주택수 1년 2016 시군 호/천명 주택수(다가구 구분 거처 반영) /인구수*1000 경기도 내부자료
2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 비율 1년 2017 시군 % 공공임대주택(5년 임대 제외) 재고/일반가구 임대주택통계
3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70% 이하 임차가구 비정기 2016 시군 가구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70% 이하 임차가구 2017 경기도주거실태조사
4 노후주택 비율 1년 2017 시군 % 1989년 이전 주택/ 전체주택(빈집포함) 총조사
5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5년 2015 시군 가구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총조사(2%표본)
6 부적합 주택(오피스텔 제외) 거주가구 1년 2017 시군 가구 비거주용건물 내 주택과 주택이외의 거처에 거주하는 가구 총조사
7 지하(반지하)·옥탑 거주가구 5년 2015 시군 가구 지하(반지하)·옥탑에 거주하는 가구 총조사(20% 표본)
8 1인당 주거면적 1년 2017 시군 주택(오피스텔 포함) 1인당 주거면적 총조사
9 강제이동 가구 비정기 2016 시군 가구 강제적 이유1)로 현재주택으로 이사한 가구(복수응답) 2017 경기도주거실태조사
10 전세 임대료 증가율2) 2019.1 시군 % 전세가격지수(2017.11=100) 최근 5년(2015.1-2019.1)간 연평균 증가율 한국감정원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
11 월세 임대료 증가율2) 2019.1 시군 % 월세통합가격지수(2017.11=100)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(월간동향,종합주택)
12 HCIR(Housing Cost to Income Ratio) 비정기 2016 시군 % 중위 주거비(주거관리비 포함) /중위 총소득(경상+비경상) 2017경기도주거실태조사
13 주거급여 수급가구 1년 2017 시군 가구 주거급여 수급자 경기도 내부자료
14 청년 임차가구 비율 비정기 2016 시군 % 청년(20~35세)으로만 이루어진 임차가구/일반가구 2017 경기도주거실태조사
15 노년 임차가구 비율 비정기 2016 시군 % 노년(65세 이상)으로만 이루어진 임차가구/일반가구 2017 경기도주거실태조사
16 장애인 임차가구 비율 비정기 2016 시군 % 장애인이 포함된 임차가구 /일반가구 2017 경기도주거실태조사
주 ①집값 혹은 집세가 너무 비싸고 부담스러워서, ②집주인이 나가라고 해서, ③재개발이나 재건축으로 인해서
주 가평군, 연천군, 양평군의 가격지수 값은 없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