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민참여 측면 | | −주민조직 참여 및 활동건수 | | | | |
−주민공모사업 추진건수 및 참여의향 |
−도시재생추진협의회 만족도 |
−전담조직(전담인력) 구성 및 운영 |
−지역에 대한 본인의 영향력 | −행정협의회 등 관련부서 협력체계 구축 및 운영 | −공동체활동참여도 |
−조례 제정 | −추진조직역량 |
−지역 활동 참여 정도 | −사업총괄코디네이터 선임 및 활동 | −공동체활동만족도 |
| −도시재생지원센터 구성 및 운영 | −도시재생사업참여도 |
−사업추진협의회 구성 및 운영 |
−관련 전문가의 활용 |
−지역 단체 및 기업 등과의 협업체계구축 |
사회적 측면 | −지역 소속감 | | −연평균 인구 증가율 | | −상권활성화정도 | |
−지역의 삶의 질 수준 |
−인구 1,000명당 범죄율 | −전문가지원활동에 대한 만족도 | −2차 산업 종사자수 | −주요지점 유동인구 | −앵커시설방문객수 |
−야간 통행 위험성 | −거주민 만족도 | −종사자 증가율 | −상가 이용객 만족도 | −인구·가구 구조 | −상주인구 |
−지역 내 의료서비스 만족도 | −도시재생대학 운영 및 만족도 | −공업용 건축물 연면적 | −주민생활안전도 | −순인구이동률 | −유동인구 |
−정신건강지수 | | | | −주택거래 | |
−지역사회소속감 |
경제적 측면 | −실업자 비율 | −창업창출건수 | −재정자립도 | −사업체 업종별 개수 및 종사자수 | −사회적경제조직수 | −카드매출액 |
−비자발적 실업자 비율 | −주민공동사업에 대한 투자액 | −공시지가 |
−저소득층 비율 | −주민공동사업으로 인한 종사자수 | −사업체수·종사자수 |
−지역 내 경제활동 인구 비율 | −주민공동사업 매출액 | −상공인 체감경기 | −주거비용체감정도 |
−사회보장제도에 따른 지원금 수령자 비율 | −마을기업 등록 및 일자리 수 | −지역 내 업종변화율 | −사회경제적 조직 |
물리적 측면 | −지역만족도 | −상가·업무 리모델링 수 | −주택보급률 | | −건축물변경(개량)사항 | −건축물 노후도 |
−주요지점 지가 | −노후주택비율 |
−거주만족도 | −주차면적 또는 대수 | −단독주택비율 | −빈 건물(점포) 수 | −기초생활인프라수 | −관련계획 |
−기반시설확충(도로·공원·녹지) | −SOC면적비율 | −나대지 수 | −지역거주(생활)만족도 | −건출물 인허가수 |
| | | −기성시가지 면적대비 도시정비사업 추진 면적 | | | |
−기성시가지 면적 대비 계획적 신개발 추진 면적 |
−공가·폐가 활용건수 | −기성시가지 면적 대비 비계획적 신개발 추진 면적 | −앵커시설조성수 |
−앵커시설방문객수 |
−신축 허가건축물 수 |
−신축·리모델링 주택수 | −천인당 산업단지 지정면적 | −공용이용시설수 |
| −천인당 준공업지역 지정 면적 | −노후건축물비율 |
−천인당 숙박시설수 | |
−철도 접근성 |
−고속도로 접근성 |
−천인당 상업용 건축물 연면적 |
환경적 측면 | −지역환경지수 | | −용수·친수 여건 (국가하천·지방하천·해안 입지 여부) | | | |
문화적 측면 | | −공공디자인 투자액 | −만인당 문화재수 | | | |
−마을미관 개선활동 건수 |
−마을미관 개선활동 만족도 |
−주요지점 통행량 수 |
−문화예술컨텐츠 발굴 및 운영수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