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회 | 2002년 | Kenya, Nairobi (12백 명) | 도시 거버넌스에 대한 세계적운동: 도시에 대한 권리 | 국가 수도이자 정치, 경제, 교통,문화 등 핵심 도시 |
2회 | 2004년 | Spain, Barcelona (43백 명) | 도시: 문화와, 포괄성과 통합의 기로는? | 스페인 최대 산업·경제도시, 항구 등교통, 온화한 기온 |
3회 | 2006년 | Canada, Vancouver (104백 명) | 우리의 미래: 지속적인도시–이론에서 행동으로전환시키기 | 천혜 자연환경, 관광 인프라로 세계에서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, 대중교통발달 |
4회 | 2008년 | China, Nanjing (80백 명) | 조화로운 도시화: 균형적인지역개발을 위한 도전 | 중국 동부의 현대적·역동적 도시,산업(전자, 자동차, 철강, 석유화학 등)발달 |
5회 | 2010년 | Brazil, Rio (138백 명) | 도시에서의 권리: 도시격차줄이기 | 브라질 교통 중심지, 자연과 인공이 잘어우러진 항구도시로 세계 3대미항도시로 선정 |
6회 | 2012년 | Italy, Naples (82백 명) | 도시 미래: 도시의 형태,도시의 형평성과 번영,,생산적 도시, 도시 이동성,에너지 및 환경 | 이탈리아 내 도시환경이 가장 쾌적한도시, 지중해성 기후로 옛 문화가 잘보존된 관광도시 |
7회 | 2014년 | Colombia, Medellin (220백 명) | NUA 개발(도시의 형평성:삶을 위한 도시) | 콜롬비아 최대 공업도시, 제2의 수도로꽃 생산지, 최근 한국 도시와 우호도시협약 체결 |
8회 | 2016년 | Ecuador, Quito (300백 명) | UN-Habitat III, NUA채택(지속가능성과 포용성,모두의 도시) | 에콰도르의 수도, 온화한 날씨로 두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 |
9회 | 2018년 | Malaysia, Kuala Lumpur (230백 명) | 2030 모두를 위한 도시:신도시 추진과제 | 말레이시아 수도, 국제공항 등 대중교통발달, APEC 개최 등 글로벌컨벤션도시로 성장 |
10회 | 2020년 (02.08~13) | U.A.E., Abu Dhabi (130백 명) | 기회의 도시: 문화와 혁신의연결(NUA 점검체계 가동) | UAE 7개 토후국 수도. 정치·경제적높은 인지도, 국제공항 등 기반시설 갖춘국제도시 |
11회 | 2022년 (06.26~30) | Poland, Katowice | 더 나은 도시의 미래를 위한도시의 변화 | 호텔 시설 및 교통망 등 국제행사를개최를 위한 준비가 되어있는 비즈니스관광 도시 |
12회 | 2024년 | Egypt, Cairo | 건강, 교육, 문화 등 전반적인회복력과 인적 자본 등으로예상(미정) | 이집트의 수도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