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4 이항로짓분석 결과
변수명 | β | SE | Sig | VIF |
(절편) | 1.1133 | 0.7763 | 0.1515 | |
주택의물리적 특성 | 건물의 평균층 수 | −0.0289 | 0.0120 | 0.0157 | 3.6936 |
세대 수 | −0.0009 | 0.0005 | 0.0842 | 4.5812 |
건물동 수 | −0.3378 | 0.0355 | 0.0000 | 2.4559 |
건물의 평균연령 | −0.0767 | 0.0041 | 0.0000 | 1.1810 |
건물유형 | 0.3949 | 0.1316 | 0.0027 | 2.8070 |
근린환경특성 | 고용접근성 | 종사자 수 | 0.0000 | 0.0000 | 0.0038 | 2.8546 |
3도심까지의 최단거리 | −0.0001 | 0.0000 | 0.0027 | 7.0491 |
교통 접근성 | 버스 접근성 | 0.0112 | 0.0037 | 0.0025 | 1.3180 |
지하철 접근성 | 0.0449 | 0.0896 | 0.6161 | 1.2383 |
IC/JC입구까지의 접근성 | −0.1225 | 0.0331 | 0.0002 | 1.3729 |
토지이용특성 | 주거연면적 비율 | 0.1701 | 0.5848 | 0.7711 | 6.9335 |
상업연면적 비율 | 1.1430 | 0.6582 | 0.0824 | 1.8064 |
토지이용복합도 | −0.0419 | 0.4731 | 0.9294 | 4.1765 |
교육 특성 | 초등학교 수 | −0.1091 | 0.0446 | 0.0145 | 1.1504 |
중학교 수 | −0.0510 | 0.0540 | 0.3450 | 1.2692 |
고등학교 수 | −0.0684 | 0.0492 | 0.1645 | 1.2731 |
대학교접근성 | 0.0037 | 0.0297 | 0.9012 | 1.2409 |
주요생활시설접근성 | 공원접근성 | 생활권공원 접근성 | 0.0145 | 0.0126 | 0.2481 | 1.2863 |
주제공원 접근성 | −0.1869 | 0.0549 | 0.0007 | 1.1476 |
한강공원 접근성 | 0.0196 | 0.0287 | 0.4932 | 8.3751 |
상급종합병원 접근성 | −0.0799 | 0.0273 | 0.0034 | 2.3092 |
공간구조특성 | 강남3구 여부 | −0.2773 | 0.1282 | 0.0306 | 1.5221 |
노도강 여부 | −0.0575 | 0.1854 | 0.7565 | 1.86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