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11 생태환경재생 성과지표군 제안

분류 제안지표
생태관련 공간 조성(14건) 생태녹지 확충 면적(2건)/ 녹지 변화율/ 마을 녹화율 향상정도/ 텃밭 조성 면적/ 골목정원 조성/ 전체 조경면적 대비 접근가능 면적/ 생태자원 발굴 수/ 마을정원 조성 수/ 생태적 담장 조성 길이/ 옥상녹화 면적/ 쉼터 수/ 가로수 ·독립수 수/ 생태환경 접근성
생태관련 이해도/만족도 (7건) 생태환경 만족도(2건)/ 생태관련 인지도/생태자원에 대한 이해도/ SDGs학습 여부/ 생태자원의 필요성 여부/ 생태자원에 대한 지역자산화 정도
생태/환경자원 활용 정도(7건) 물, 빛, 쓰레기 등의 자연자원 활용도/ 생태자원 활용(이용)정도/ 에너지 저장 및 신재생 에너지 도입 여부/ 빗물저장 및 재활용 시설 조성 여부/ 생태환경 이용(활용) 횟수, 활용목적/ 생태환경 개선 여부/ 생태자원의 보호정도
생태환경 조성 관련 주민참여도 (5건) 생태환경 조성 관련 지속적인 주민 참여도/ 지역생태자원관련 프로그램(원예 및 육종교육, 텃밭운영 등) 참여자 수/ 생태환경재생 프로그램 주민참여자 수/ 생태자원 보존을 위한 주민참여의지 / 생태자원에 대한 주민 주도적인 운영모델 발굴(자원연구, 현장조사, 생태지도 등)
일자리/인적자원 발굴(2건) 생태프로그램 운영 중간조직 실태(개수 및 인력 수)/ 생태 해설사 인원수
기타 (3건) 마을 내 민주적인 소통회의체 여부 / 민주적인 의사결정과정과 운영회칙 제정여부/생태환경재생을 통한 타 부처 등 연계사업(문화관광 등) 발굴 여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