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13 주거환경개선 성과지표군 제안

분류 제안지표
주민편의시설 확충 및 개선(10건) 쓰레기 분리수거장 설치 여부 혹은 개수(2건) / 주차률-거주민 주차, 세대별 형평성, 주차가능공간 접근성 등 고려 단순주차장 조성이 아닌 면수와 위치 등(2건) / 주민편의시설(2건) / 어린이(안심)놀이터 설치여부(2건)/마을주민 공동이용시설(커뮤니티센터) 설치(2건)
시설 및 환경 정비 (9건) 도시가스 설치 정도(3건) / 노후 소골목 정비 건수(2건) / 골목길 정비 면적 / 불량 도로 감소 / 주거환경을 위한 SOC현황 및 보완현황 / 생활인프라 개선정도는 좀더 세부적으로 항목을 구분하여 모두 제시해야(각 지역 특성에 따라 항목 반영 −기본항목, 특정 항목 등)
지역주민 참여도 (7건) 지역환경개선 관련 활동 / 지역주민의 참여도 정도(주거재생의 다양한 사업단 구성 등) / 주민주도적인 활동사업단 구성여부 / 지역 공동체 주도 주택개량 / 생활인프라 시설의 공적자산화 정도와 주민주체 관리여부 / 마을 내 민주적인 소통회의체 여부 / 민주적인 의사결정과정과 운영회칙 제정여부
주택 관련 지표(3건) 공공임대주택 등 도입여부 / 기존주택 매입 면적 / 공동체주택 등 다양한 주거시설 개선정도
치안/안전(3건) 셉테드(CPTED)적용 여부 / 범죄발생률(2건)
지가 등 가격 변동(2건) 지가(주택가격) 상승 정도(비율이 아닌 주민이 체감하는 자산의 증식 정도) / 월세 변동 추이
인구변화(2건) 세대별 인구수 변화 정도 / 청년층 유입률
기타(5건) 향후 이주 가능성 / 노약자 친화적 환경개선정도 / 에너지 환경 개선 / 둥지내몰림 등 지자체 자원의 조례제정 여부 / 주거환경지수에 따른 노후도 검토(단열, 주방, 화장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