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분 | 조사 내용 | |
---|---|---|
홍보 및 지원의 다양화 | 홍보의 다양화 | 센터 인력의 한계가 문제될 수 있으므로, 시중 금융기관과의 연계 필요함 정보의 확산을 위해서 홍보 자료가 많은 곳에 자주 배포될 필요가 있음. 또한 정보를 취득하기가 용이해야 할 것임. |
지역 밀착형 | 융자 가능지역 내 건축물 매도 정보 시스템 구축(매도자 - 매입자 연결) 중간조직이 정보전달의 KEY MAN으로 역할 필요 | |
컨설팅 시스템 구축 | 도시재생씨앗 융자를 받고싶어 하는 사람과 HUG간의 연결 | |
지원 자격 및 | 지원자격 확대 | 현재는임대인만 사업이 가능한 구조임. 상권 활성화는 임차인의 역할이 중요하므로, 이들에게 융자 허용 필요 특히 임대기간 만료 시 임대인이 원상복구 등을 강하게 주장하면 곤란함.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함 |
융자 조건의 | 최근 상가 공실이 심해지고 있음. 임대자-임차인 간 상생협약 시 융자를 쓸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 고민 필요 | |
타 사업 연계 시너지 창출 방안 모색 | 유사 지원제도 대비 우월한 메리트 제공 |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‘상권 르네상스 사업’과 비교 필요, 유사성, 접근성 등에서 우위 선점 필요 타 기관 금융상품과의 차별화 강화 필요(중소기업청 소상공인 지원, 각 지자체 창업지원 등) |
타 사업과 연계시행 | 창업 지원은 지원금 있어 정착이 어려움 창업지원자와 창업시설 조성이 연계되면 좋겠음 | |
공공성 담보 방안 모색 | 공공성 확보 | 사업을 할 줄 아는 사람(사업성)의 공공성 확보가 중요함 |
정책적 한계 인식 | 공공성 강조와 수요자 편익과의 괴리현상 극복 |